본문 바로가기
통합검색 레이어 검색 창

묘역

현충원 시설물 안내

국립서울현충원의 주요 장소를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국립현충원 지도
장병묘역

장병묘역은 창군 이래 여수·순천사건, 6·25전쟁, 대간첩작전, 베트남전쟁 등에서 싸우다 전사한 군인 등이 안장된 곳이며, 국립서울현충원의 묘역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곳에는 대령 이하 장교, 사병, 재일학도의용군 등 53,000여위가 안장되어 있습니다.

경찰관묘역

국립서울현충원 5번, 8번, 9번 묘역과 7번 묘역 일부를 경찰관 묘역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이곳에는 6·25전쟁 직후 자유와 평화,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를 위해 전사·순직한 경찰관 영현들이 모셔져 있습니다. 경찰관 묘역 위쪽에는 이분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 뜻을 추모하기 위한 경찰충혼탑이 세워져 있습니다.

독립유공자묘역

독립유공자 묘역 중앙에는 순국선열 및 애국지사, 임시정부요인, 무후순국선열을 통틀어 추모하는 충열대가 있습니다. 독립유공자 묘역에는 사이토 마코토 조선총독 암살을 기도한 강우규 의사, 임시정부 초대 재무총장으로 안중근 의사 의거를 지원한 최재형 지사, 3·1운동을 적극 후원했던 캐나다인 프랭크 W. 스코필드 박사 등 구한말과 일젱강점기 치하에서 의병활동, 독립투쟁 등 항일운동을 펼친 순국선열과 애국지사께서 안장되어 있습니다.

국가유공자제1묘역

국가유공자 묘역에는 건국 후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외교, 안보, 과학 분야에서 국가 발전과 민족 번영을 위해 몸바친 국가사회공헌자께서 안장되어 있습니다. 국가유공자 묘역은 제1묘역, 제2묘역, 제3묘역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국가유공자제2묘역

국가유공자 묘역에는 건국 후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외교, 안보, 과학 분야에서 국가 발전과 민족 번영을 위해 몸바친 국가사회공헌자께서 안장되어 있습니다. 국가유공자 묘역은 제1묘역, 제2묘역, 제3묘역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국가유공자제3묘역

국가유공자 묘역에는 건국 후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외교, 안보, 과학 분야에서 국가 발전과 민족 번영을 위해 몸바친 국가사회공헌자께서 안장되어 있습니다. 국가유공자 묘역은 제1묘역, 제2묘역, 제3묘역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임시정부요인 묘역

임시정부요인 묘역은 1993년 상해만국공묘에 안치되어 있던 상해 임시정부요인 5위의 영현을 환국 안장하면서 조성되었습니다. 임시정부요인 묘역은 계단식으로 조성되어 있으며, 위쪽 묘역에는 국가원수급인 박은식, 이상룡, 홍진, 양기탁 4위가 모셔져 있고, 아래쪽 묘역에는 국무총리를 역임했던 노백린, 외무총장을 역임했던 신규식, 광복군 총사령관을 역임했던 지청천 장군 등이 모셔져 있습니다.

장군제1묘역

장군묘역에는 광복 이후 국군의 창설과 발전은 물론 6·25전쟁, 베트남전쟁, 대간첩작전 등에서 전공을 세운 군 장성들이 안장되어 있습니다. 장군묘역은 제1묘역, 제2묘역, 제3묘역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장군제2묘역

장군묘역에는 광복 이후 국군의 창설과 발전은 물론 6·25전쟁, 베트남전쟁, 대간첩작전 등에서 전공을 세운 군 장성들이 안장되어 있습니다. 장군묘역은 제1묘역, 제2묘역, 제3묘역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장군제3묘역

장군묘역에는 광복 이후 국군의 창설과 발전은 물론 6·25전쟁, 베트남전쟁, 대간첩작전 등에서 전공을 세운 군 장성들이 안장되어 있습니다. 장군묘역은 제1묘역, 제2묘역, 제3묘역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외국인묘역

외국인 묘역 조성 계획에 따라 강혜림(장후이린)유공자의 묘소를 24번 묘역에서 12번 묘역 앞줄로 이전한 2012년 5월 15일부터 이곳을 외국인 묘역으로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 묘역에는 중국 화교로서 6·25전쟁에 참전한 강혜림(장후이린), 위서방(웨이쉬팡) 2위가 안장되어 있습니다

이승만대통령묘역

이승만 대통령 묘역에는 대통령 내외의 합장봉분, 묘비와 헌시비, 기념비가 있습니다. 이승만 대통령께서는 1965년 7월 19일 하와이에서 서거하셨으며, 동년 7월 27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셨습니다. 영부인 프란체스카 도너 리 여사께서는 1992년 3월 19일 서울에서 서거하셨으며 1992년 3월 23일 가족장으로 이곳에 합장되셨습니다

박정희대통령묘역

박정희 대통령 묘역은 영부인 육영수 여사께서 1974년 8월 15일 광복절 기념식장에서 서거하시어 국민장을 치르고 국립서울현충원에 먼저 안장되시면서 조성되었습니다. 박정희 대통령께서는 1979년 10월 26일 서울에서 서거하시고, 11월 3일 국장을 치른 후 안장되셨습니다. 박정희 대통령 묘역에는 묘비와 헌시비가 있습니다.

김영삼대통령묘역

김영삼 대통령 묘역에는 묘비와 기념비가 있습니다. 김영삼 대통령께서는 2015년 11월 22일 서울에서 서거하셨으며, 국가장으로 11월 26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셨습니다. 영부인 손명순 여사께서는 2024년 3월 7일 서울에서 서거하시어 2024년 3월 11일 이곳에 합장되셨습니다.

김대중대통령묘역

김대중 대통령 묘역에는 묘비와 헌시비가 있습니다. 김대중 대통령은 2009년 8월 18일 서울에서 서거하셨으며, 국장으로 8월 23일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셨습니다. 영부인 이희호 여사께서는 2019년 6월 10일 서울에서 서거하시어 2019년 6월 14일 이곳에 합장되셨습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