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국가보훈부(국문) -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부서, 작성일, 조회수, 연락처, 내용, 보도 일시, 종료일, 파일 정보 제공
독립군 출신 영화감독 춘사 나운규 선생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작성자 : 강병구 작성일 : 조회 : 1,466
부서 공훈심사과
연락처 044-202-5451

독립군 출신 영화감독 춘사 나운규 선생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영화 <아리랑>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시킨 독립군 출신 영화감독 춘사 나운규(羅雲奎, 1902.10.27.~1937.8.9.) 선생을 2016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선생은 함경북도 회령 출신으로 회령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간도 명동중학에서 수학하였다. 1919년 3월 회령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했다가 일본 경찰의 수배를 받게 되자 연해주를 거쳐 북간도로 이주하였다.


□ 3·1운동 이후 간도지역에서 무장 독립운동이 활발해지자 선생은 철도·통신 등 일제의 기관시설 파괴 임무를 띤 도판부(圖判部)에서 독립군으로 활약하였다. 청산리 인근에서 독립군 훈련을 받기도 하였으나 일제가 철도 파괴 계획에 대한 비밀문서를 입수하고 선생을 비롯한 관련자들을 체포했다. 선생은 1921년 3월 보안법 위반 등으로 징역 2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다. 


□ 출소 후 회령에 머물던 선생은 1924년 1월 극단 예림회에 가입하여 연극배우로  활동하였다. 이후 부산의 조선키네마주식회사 연구생으로 입사하였고, 백남프로덕션에서 <심청전>의 심봉사 역을 맡아 연기하였다. 이후 <흑과백>, <장한몽>,<농중조> 등에 출연하며 배우로서 주목받게 되었다. 


□ 1926년 10월 1일 민족주의 성향이 강한 영화 <아리랑>을 제작·상영한 후 일약  조선영화계를 대표하는 인물로 주목받았다. 이어 <풍운아>, <잘있거라>, <사랑을 찾아서> 등을 제작하였는데, 특히 독립군으로 활약하던 시기의 경험을 토대로 제작하였던 <두만강을 건너서>는 일제의 엄격한 검열로 제목을 <사랑을 찾아서>로 바꿔야 했다.


□ 1931년 <말 못할 사정> 이후 제작한 영화마다 흥행에 실패하자  폐병이 재발 하였다. 병중에서도 <오몽녀>를 제작하는 등 열의를 보였으나 폐병이 더욱   악화되어 1937년 8월 9일 향년 36세로 사망했다. 영결식은 <아리랑>이 개봉   되었던 단성사에서 열렸다.


□ 일제 강점기 제작하는 영화마다 일제의 검열 가위에 잘려나가기 일쑤였지만  선생은 조선인 관객들을 울고 웃게 하면서 영화를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하였다. 1993년 정부는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