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국가보훈부(국문) -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부서, 작성일, 조회수, 연락처, 내용, 보도 일시, 종료일, 파일 정보 제공
문무를 겸비한 임시정부의 지도자 이탁 선생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작성자 : 강병구 작성일 : 조회 : 1,329
부서 공훈심사과
연락처 044-202-5451

문무를 겸비한 임시정부의 지도자 이탁 선생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 도산 안창호 선생이 의(義)와 담(膽)을 가진 인물로 평가 ◈


□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동우 이탁(東愚 李鐸, 1889~1930) 선생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선생은 평남 평원 출신으로 1908년 평양 대성학교에서 도산 안창호 선생의 지도를 받았다. 1910년 만주로 망명하여 신흥강습소 설립에 참여하였으며, 1913년 만주 일신학교의 교장으로 임명되었다. 1914년에는 신흥무관학교 경영에도 참여하였다. 


□ 1919년 매국 7적을 응징할 목적으로 27결사대를 결성하여 서울로 잠입하였다. 1920년 대한청년단연합회 대표로 임시정부에 파견되었으며, 서간도지역 임시정부 군사기구인 광복군총사령부 참모장과 임시정부 동삼성외교위원장에 임명되었다. 


□ 1920년 7월 미국 의원단 내한 때 3개 결사대를 국내로 파견하여 일제 통치기관을 파괴토록 하였으며, 1921년 상해에서 한중국민호조사를 조직해 문서과 부주임으로 활동하였다. 8월에는 태평양회의 외교후원회 서무간사로 선임되었고, 시사책진회 결성에도 참여하였다. 1922년 상해 대한적십자사 감사로 선임된 후 국민대표주비회(國民代表會籌備會)가 조직되자 서기로 임명되어 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였다. 


□ 1926년 만주에서 추진된 민족유일당운동과 3부 통합운동에 적극 참여하였고, 1927년 농민호조사 발기인으로 참여하였다. 1929년 상해에서 한인학생을 중국군관학교에 입교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같은 해 4월 평양 등지에서 독립운동자금 모금활동을 펼쳤다. 12월에는 임시의정원 만주·간도지방 대표로 활동하였다. 


□ 도산 선생이 만신도의담인(滿身都義膽人, 일신이 모두 의와 담이다)이라고 추모할 정도로 선생은 문무를 겸비한 임시정부 지도자로 평생 독립운동에 헌신하였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


□ 국가보훈처는 선생의 삶을 조명하기 위해 10월 29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공훈선양 학술강연회를 개최하고, 10월 한 달간 천안 독립기념관과 서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특별사진전을 개최할 예정이다.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