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국가보훈부(국문) -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부서, 작성일, 조회수, 연락처, 내용, 보도 일시, 종료일, 파일 정보 제공
2018년 5월의 6.25전쟁영웅 김현숙 육군 대령
작성자 : 김상희 작성일 : 조회 : 8,204
부서 제대군인정책과
연락처 044-202-5716

           2018년 5월의 6.25전쟁영웅 김현숙 육군 대령

◈ 나라를 위한 고귀한 충정, 대한민국 여군의 새 역사를 쓰다 ◈


□ 국가보훈처(처장 피우진)는 ‘김현숙’ 육군 대령을 5월의 6.25 전쟁영웅으로 선정하였다.

 . 김현숙 대령은 1915년 7월 4일 평양에서 출생하여 일본 동경체육전문학교를 졸업하고 평양 강동여자중학교 체육교사로 근무했다.

    1949년 예비역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이후 국방장관실에 보직되어 지리산 공비토벌작전 때 생포한 여자공비의 전향을 위한 계몽활동을 전개하던 중 6.25전쟁을 맞았다.

 . 6.25전쟁이 발발하자 수많은 어린 남학생들이 군에 입대하는 모습을 보고 여자라고 해서 가만히 있을 수 없다고 판단하고, 이승만 대통령에게 여자의용군 모집을 건의했고, 1950년 8월에 여자의용군 모집에 관한 담화를 직접 발표했다.

    “국민으로서 여자만이 안일하게 국난을 방관하는 태도로 있을 수 없는 단계에 이르렀으므로 앞으로 맹렬한 활동을 전개할 것이니 일반의 협조를 바란다. (중략) 남녀를 막론하고 이 시국을 재인식하여 국가총력으로 최후의 평화를 획득할 때까지 싸워야 할 것이다.” (여자의용군 모집 담화문 中)
. 1950년 9월 육군 제2훈련소 예속으로 여자의용군교육대를 창설하고 초대 교육대장으로 취임했으며, 여자배속장교 출신들을 규합하고 지휘관, 참모 등의 임무를 부여하여 여자의용군 1, 2기 874명을 양성하였다.
    이들은 6.25전쟁기간 동안 국군의 일원이 되어 정보 및 첩보수집, 선무활동, 모병업무 등의 현장에서 국가를 구한다는 신념으로 전방위 활약을 펼쳤다.

 . 조국이 위태로울 때 기꺼이 응답했던 여자의용군을 직접 가르쳤던 김현숙은 1953년 3월 한국 여군으로서는 최초로 대령으로 진급하였다. 같은 해 9월 여군창설 3주년 기념식에서 최초의 여군기를, 1954년 8월에는 미국 아이젠하워 대통령으로부터 공로훈장을 받았으며, 1960년 9월 초대 여군처장으로 전역하기까지 여군창설과 발전의 주역이었다.

 . 김현숙 대령은 1981년 11월 7일 지병으로 향년 66세에 별세했으며, 동작동 국립현충원 내 국가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