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도자료

국가보훈부(국문) - 보도자료 상세보기 - 제목, 작성자, 부서, 작성일, 조회수, 연락처, 내용, 보도 일시, 종료일, 파일 정보 제공
대한국민의회 의장 문창범 선생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작성자 : 강병구 작성일 : 조회 : 1,571
부서 공훈심사과
연락처 044-202-5451

 대한국민의회 의장 문창범 선생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

 ◈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교통총장으로 임명 ◈


□ 국가보훈처(처장 박승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러시아 지역 대표적인 독립운동 지도자인 문창범<文昌範, 1870 ~ (1938)> 선생을 2015년 12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고 밝혔다.


□ 선생은 함경북도 경원 출신으로 어려서 부모를 따라 러시아로 이주하여 재력가로 자수성가한 후 연해주 지역 한인 교육 및 언론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선생은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권업회가 조직되자 우수리스크지회 대표로 활약하였으며, 당시 해외 독립운동을 이끌던 독립운동가들과 함께 일명 무오독립선언서로 알려진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하였다. 


□ 선생은 1917년 전로한족회중앙총회에서 회장으로 선출되어 러시아 지역 한인사회 결집을 위해 노력하였으며, 기관지로 한국어 신문인 청구신보를 간행하였다. 1919년 1월 러시아 니코리스크에서 한족회대회를 개최하고 한인 2백여 명과 함께 태극기를 앞세우고 시내를 행진하였으나 주둔 일본군에 의해 해산 당하였다.


□ 1919년 2월에는 러시아, 간도 및 국내 대표들이 참석한 전로국내조선인회의를 개최하여 전로한족회중앙총회를 확대·개편한 대한국민의회를 창설하였다. 선생은 임시정부의 성격을 띤 최초의 조직인 대한국민의회 의장에 취임하였다.


□ 1919년 3월 선생은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2만여 명의 한인 동포들이 참가한 가운데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후 대규모 만세운동을 전개하였다. 이후 선생은 통합 임시정부 구성을 위해 노력한 끝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교통총장에 임명되었다. 선생은 1938년 러시아에서 순국한 것으로 전해진다. 정부는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90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하였다.


□ 국가보훈처는 연해주에서 대통령으로 불릴 정도로 대중적인 지지를 받았던 문창범 선생의 삶과 독립운동 활약상을 조명하기 위해 12월 9일(수) 백범김구기념관에서 학술강연회를 개최하고, 12월 한 달간 천안 독립기념관과 서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기획전시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