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참여사진

국가보훈부(국문) - 참여사진 상세보기 -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제목, 내용, 파일 정보 제공
■.전라남도 독립운동가 일강 김 철 생가 답사 및 Monitoring.
작성자 : 송철효 작성일 : 조회 : 541
■.전라남도 독립운동가 일강 김 철 생가 답사 및 Monitoring. ●. 개 설. ▲. 일 자 : 2017年 02月 09日. ▲. 명 칭 : 獨立運動家 金 喆 生家. ▲. 장 소 : 全羅南道 咸平郡 新光面 咸井里 九峯. ▲. 주 최 : 國家報勳處. ▲. 주 관 : 國家報勳處 알림이. ▲. 활 동 : 獨立運動家 金 喆 生家 踏査 및 Monitoring. ▲. 인 원 : 1 名. ▲. 사 진 : 添 附. ▲. 날 씨 : 흐 림. ▲. 작 성 : 國家報勳處 알림이. ●. 개 요. ▲. 2017年 02月 09日 오늘은 일강 金 喆의 獨立運動과 生家를 踏査 및 Monitoring을 하였습니다. 大韓民國 臨時政府 (1919年 ~ 1948年) 는 1919年 03月 01日 경성(京城)에서 宣布된 3·1 獨立宣言에 基礎하 여 日本 帝國의 大韓帝國 侵奪과 植民 統治를 否認하고 韓半島 內外의 抗日 獨立運動을 主導하기 위한 目的으로 1919年 04月 13日 中華民國 상하이에서 設立된 亡命政府이다. 같은 해 09月 11日에는 各地에 設立 된 臨時政府들을 吸收·統合하여 統合 臨時政府로 發展하였다. 줄여서 臨政이라고도 합니다. ▲. 大韓民國 臨時政府는 1919年 臨時 憲法을 制定하여 大韓帝國의 領土를 繼承하고 구황실을 優待한다고 하였으며, 大韓民國 臨時 政府의 初代 大統領이었던 李承晩은 光復後 大韓民國의 初代 大統領이 되었으며, 1987年 改正된 大韓民國 憲法은 大韓民國이 大韓民國 臨時 政府의 法統을 繼承한다고 되었습니다. ●. 내 용. ▲. 일강 金 喆은 1917年 02月 나라를 잃은 설음에 분노하여 救國의 一念으로 中國 桑海로 亡命하였다. 1918年 08月 20日 中國 桑海 프랑 스 조계 백미로 25호에서 呂運亨, 張德秀, 金鐵, 趙東祜, 鮮于爀, 한진교 等 6名이 發起人이 되어 신한청년당을 창당하였다. 신한청년당 부주무로서 기관지 ??신한청년」을 發刊 獨立精神을 高趣하였으며 大韓 赤十字會의 상의원도 歷任하였습니다. ▲. 1918年 11月 中國 桑海에서 美國 大統領 윌슨의 特使 크레인 을 招請하여 晩餐會를 열어 晩餐會席上에서 呂運亨, 金鐵, 張德秀, 신국권 等이 만나서 自主獨立을 要請하는 意見을 交換하고 윌슨에게 보내는 대한의 自主獨立을 요청하는 請願書를 傳達하였고, 1919年 呂運亨, 김喆, 김규식 等이 協議하여 파리강화 회의에 김규식을 파견하 여 大韓의 獨立을 呼訴하였으며, 1919年 01月 신한 청년 당을 中心으 로 各國에 獨立을 宣言함과 同時에 서병호, 선우혁과 같이 국내에 밀 입국하여 자신의 전답을 정리하여 독립자금 1만원을 마련하여 상해로 가져가 獨立運動 同志들의 生活을 圓滑하게 하였습니다, 同年 02月 서 울에서 孫 秉熙 先生을 만나 3만원의 獨立資金 支援을 約束 하고, 3.1 萬歲運動 거사를 計劃한 後 상해로 갔습니다. ▲. 1919年 3.1運動이 일어나자 상해에서 신한청년당을 중심으로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 조완구(趙琬九), 신익희(申益熙), 신석 우(申錫雨),조동호(趙東祜), 신규식(申圭植), 선우혁(鮮于爀), 한진교(韓 진敎) 等과 함께 상해시 보창로 불란서 조계 내에 대한독립 임시사무 소를 설치하고, 大韓民國 臨時政府 樹立에 參與하여 1919年 04月 10 日 제1회 臨時 의정원 회의에서 의정원의원(全羅道 代表)에 선임 되었 고, 같은 달 제2回 임시의정원 회의에서 임시정부 재무위원 겸 법무위 원이 되었습니다. ▲. 같은 해 08月에 臨時政府 交通部次長에 任命되었는데, 總長 문창범이 就任하지 않아 總長職까지 겸하게 되었으며, 1920年 01月에 그는 金九 等과 같이 의용단(義勇團)을 勃起해 獨立運動에 拍車를 가 하고 의용단 산하 선전 委員會가 조직되자 委員長 安昌浩를 도와 선전 업무에 종사하였습니다. 그러던 중 임시 의정원과는 별도로 안창호 등 이 국민 대표회의 소집 을 요구했고, 그 결과 양자 간에 갈등이 일어났으며, 급기야 1922年 07月에는 시사책진회(時事策進會)가 만들어 지고 김철은 시사책진회 회원으로 臨時議政院과 국민대표회의간의 갈등 조정에 들어가 갈등을 해결에 기여하여, 국민 대표회의는 규정을 만들어 이런 활약이 높이 그는 1924年 05月에는 臨時政府 국무원 회계검사원 검사장에 임명되 었고, 1926年 12月 금구(국무령)내각 국무위원에 임명되었으며, 1927 年 08月 이동녕 내각 군무부장에 임명되어 1930年 07월에 조직된 한국독립당의 14인 이사 中의 한명으로 활약하였습니다. ▲. 같은 해 12月 새 헌법에 의하여 임기가 만료 제2차 내각구성에서 군무부장에 재임명되었고, 1931年 10月 도산 안창호 선생과 함께 대 한교민단(大韓僑民團)심판이 되어 상해교민의 복지향상에 힘쓰셨습니 다. 같은 해 11月 중국人과 공동항일전선을 형성하여 한중 항일 대 동 맹을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전개하였고, 조소앙과 중국인 오징천, 서천 방 등과 함께 상무위원으로 활동하였습니다. 1932年 01月 상해 대한 교민단의 정치위원으로 선출되고, 같은 해 11月 국무위원에 임명되었 습니다. ▲. 1932年 01月 08日 李奉昌 義士의 일왕 저격사건과 동년 04月 29 日 윤 봉길 의사의 中國 홍구공원에서의 백천대장 等 일본인 폭살 양 대 의거를 당시 군무장으로서 백범 김구 선생과 같이 주도하였으며, 이 사건 이후 일경의 추격이 급박해지자 상해에 있는 그의 친지인 미국인 피치 목사의 집 2층에 김구, 엄항섭, 안공근과 같이 피신해 있었습니다. 같은 해 05月 10日 상해임시 정부를 항주로 이동하여 선생의 숙소인 항주시 소재 청태 제2여사(第二旅社) 32호실에 임시정부 판공처(臨時政府判公處)를 설치하여 임시정부 항주시대를 개막하였습니다. ▲. 동년 05月 16日 항주의 첫 국무회의에서 선생은 재무장에 김구선 생은 군 무장에 임명되었고, 1933年 07月 임시의정원의원에 선임되어 자격심사 위원으로 신도의원의 자격을 심사하였으며, 같은 해 신한독 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과 함께 결성한 한국대일전선통일동맹에 한국 독립당의 대표로 참석하기도 했으며, 1934年 01月 03일 제3차내각(主 席 梁起鐸) 무임소장에 임명되었습니다. 같은 해 04月 02日 국무원비 서장에 선출되어 임시정부의 이동에 따라 각지를 전전하면서 오로지 조국 광부을 위하여 고군분투하며 분골쇄신하였습니다. ●. 목 적. 일강 김 철은 1917年 02月 나라를 잃은 설음에 분노하여 구국의 일념 으로 중국 상해로 망명 여운형, 장덕수, 김철, 조동호, 선우혁, 한진교 등 6명이 발기인이 되어 신한청년당을 창당 독립운동을 하였습니다. ●. 결 론. 일강 김 철은 1934年 06月 29日 중국 항주(杭州)소재 광자병원에서 격무에 시달려 몸이 쇠진하여 급성 폐염으로 순국하여, 이시영, 조완구, 송병조, 양기탁 등 임정 요인들의 애도 속에 악비묘(岳飛廟) 뒷산에 안장되었으며 1962年 건국공로훈장(독립장)이 추서 되었습니 다. ●. 게 재. 1. 國家報勳處 열린마당 參與寫眞. 2. 國家報勳處 열린마당 自由揭示板. 3. 大韓民國 傷痍軍警會 Community 自由揭示板. 4. 國防部 國防政策 나도 한마디. 5. Cafe Log-in. (1). 全羅北道 電子民願 Monitor 自由揭示房. (2). 옛 그늘 文化遺産 踏査會 自由揭示板. (3). Pride 勵山 勵山人 自由揭示板. (4). 여송 쉼터 自由揭示板. (5). 사랑하는 사람들의 人生 自由揭示板. (6). 空軍 戰 公傷 有功者會 우리들의 이야기. (7). 情 사랑주고 自由揭示房. (8). 반딧불 아무거나. (9). 全州市 在鄕軍人會. (10).아름다운 5060 自由揭示板. (11).샛별과 燈臺 自由揭示板. (12). 國家有功者 聯合會. (13). E-Mail : 12군데. ●. 2017年 02月 09日. 國家報勳處 알림이.
파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