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연설문

국가보훈부(국문) - 연설문 상세보기 - 제목,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한국보훈학회 추계학술회의 축사
한국보훈학회 추계학술회의 축사(결재) 존경하는 한국보훈학회 유영옥 회장님과 회원 여러분! 최상래 경기대학교 총장님과 김성령 성결대학교 총장님! 그리고 이번 학술회의의 기조연설을 해주실 김호성 서울교육대학교 총장님을 비롯하여 바쁘신 가운데에도 자리를 빛내주신 내빈 여러분! 오늘 국가보훈의 씽크탱크인 한국보훈학회 추계학술회의에서 축하의 말씀을 드리게 된 것을 매우 뜻 깊게 생각합니다. 한국보훈학회는 지난 2002년 6월 창립된 이후, 정기 학술회의 개최와 보훈논총 발간 등 의욕적인 학술활동을 펼치며 불모지와 다름없던 '국가보훈학'의 학문적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통해 국민들의 보훈에 대한 관심을 일깨우는 견인차 역할을 해왔습니다. 아울러 국가보훈이 명실상부한 국가의 기본정책으로 자리매김 하는데 한국보훈학회가 큰 기여를 할 것이라는 기대도 높아져 가고 있습니다. 역사학자 토인비는 "세계사는 도전과 응전의 역사다"라고 하여, 도전을 많이 받은 나라일수록 발전의 원동력인 응전에 능함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우리민족은 일제강점기의 수난과 광복이후의 또 다른 질곡의 현대사에서 국민모두가 합심하여 시대적 고비를 지혜롭게 극복하고 민족자존을 지켜온 빛나는 전통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이 오늘날과 같은 발전을 이루고 세계일류국가로의 도약을 기약하고 있는 것도 많은 분들의 나라위한 공헌과 희생 위에 국민들의 헌신적인 노력이 더해진 결과입니다. 역사는 선조들이 영위해 온 삶의 거울이자 앞으로 우리가 꾸려 나가야 할 미래의 살아있는 교과서라는 말처럼, 정부에서는 지난날 선열들께서 보여주신 나라사랑의 참뜻을 되새겨 국가공동체의 더 나은 미래를 열어 나가기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기에, 『국가보훈의 상징성과 이념적 가치』라는 주제로 열리는 학술회의는 매우 시의적절하며 그 의미가 매우 각별하다고 생각합니다. 아무쪼록 오늘 추계학술회의에 참여하신 발표자, 토론자 여러분들의 진지한 논의와 이를 통해 제시되는 고견들이 우리사회에 보훈의 가치를 정립하고 국가보훈을 발전시키는데 큰 보탬이 되기를 바랍니다. 끝으로 추계학술회의 준비를 위해 애쓰신 한국보훈학회 및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위해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서울신문사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한국보훈학회와 서울신문사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04. 11. 24. 國家報勳處長 朴 維 徹
파일
UR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