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청소식

지(방)청소개

국가보훈부(국문) - 우리청소식(강원서부보훈지청) 상세보기 - 제목, 부서, 내용, 파일, URL 정보 제공
(친절춘천) 제5회 윤희순여사 추모백일장 개최
부서 보훈과
의병 - 국운이 기울어 가던 조선 말기에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나라를 지키고자 스스로 떨쳐 일어났던 이들을 가리키는 말이다. 벼슬과는 상관없었던 선비들과 백성들이 주체적으로 힘을 모아 저항한 의병운동의 역사에서 여성들의 이름을 찾기는 어렵다. 그러나 당시 여성들이 나랏일에 무관심한 건 결코 아니었다. 그녀들 역시 반지를 뽑고 쌀을 모아 국채(國債)를 보상하려는 운동을 전국적으로 벌였고, 교육운동을 통해 부국강병의 중요성을 역설하였다. 구한말에 나라를 위해 일어섰던 여성중에는 윤희순여사도 있다. 그런데 그녀의 방식은 사뭇 달랐다. 윤희순 여사가 선택한 방식은 의병 운동이었다. 그녀는 직접 의병가를 지어 의병들의 사기를 진작했고, 때로는 전투의 후방에서 의병부대의 보급부대 같은 역할을 자임했으며, 뿐만아니라 직접 전투 훈련에 참가하여 비상시를 대비하였다. 윤희순은 훗날 독립투쟁에서 비행기를 조종하고 능선을 타며 전투를 감행했던 여성 전사들의 선배였던 것이다. 아무리 왜놈들이 강성한들 우리도 뭉쳐지면 왜놈 잡기 쉬울세라/ 아무리 여자인들 나라사랑 모를소냐/ 아무리 남녀가 분별한들 나라없이 소용있나/ 우리도 나가 의병하러 나가보세 의병대를 도와주세/ 금수에게 붙잡히면 왜놈시정 받들소냐 우리의병 도와주세/ 우리나라 성공하면 우리나라 만세로세/ 우리 안사람 만세 만만세로다.... < 안사람의병가 - 윤희순 > 구한말 애국·희생의 민족정신으로 항일독립을 위하여 헌신하신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의병 윤희순 여사는 독립운동은 물론 안사람의병가 등 수많은 애국 가사를 지어 배포함으로써 나라사랑을 실천하신 분이신 것이다. 이에 한국여성예림회강원도지부(지부장-김금분)는 윤희순 여사의 애국정신과 문학정신을 되살리고자 국가보훈처 등의 후원으로 해마다 윤희순 여사 추모백일장을 개최하고 있는데 올해로 벌써 5회째가 되었다. 지난 11월4일 춘천시립도서관 윤희순 동상앞에서 초·중·고교생은 물론 대학·일반인까지 약 5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개최된 제5회 윤희순 백일장에서 영예의 대상(국가보훈처장 표창)은 정명성씨(춘천시 후평동-일반)가 “강풍”(시)으로 차지했는데 그 이외에도 강원도지사 상, 춘천보훈지청장 상 등 40명이 입상자로 결정되었다. 시상식은 2006.11.18(토) 14:00 국립춘천박물관 강당에서 개최되고 김대일 춘천보훈지청장이 참석하여 축사를 하고 처장표창 등 시상을 할 예정이다. 다음은 백일장 입상자 ◇국가보훈처장상=정명성 ◇일반 부문 △대상=김현숙(춘천) 윤상희(고려대) △장원=석정미(춘천) 편현주(춘천) △차상=한만봉(춘천) 이미숙(춘천) △차하=정재옥(춘천) 김경희(춘천) △장려=남신우(춘천) 원성호(춘천) ◇고등부 △대상=정진우(강원고) 김새미나(춘천여고) △장원=길주환(성수고) 이한빛(춘천여고) △차상=임도영(강원고) 이슬(유봉여고) △차하=이명훈(강원고) 백정열(춘천기계공고) △장려=이기복(성수고) 심소현(유봉여고) ◇중등부 △대상=엄송이(남춘천여중) 최원주(남춘천여중) △장원=한상구(후평중) 유민정(남춘천여중) △차상=김준영(유봉여중) 남누리(남춘천여중) △차하=박민형(남춘천여중) 이윤범(소양중) △장려=심명종(남춘천중) 문예린(춘천여중) ◇초등부 △대상=모민규(춘천교대부설초) 김서현(봄내초) △장원=엄정현(남부초) 정새미(봄내초) △차상=정해인(금병초) 이경민(남부초) △차하=주영재(남부초) 유민희(성원초) △장려=윤지인(동부초) 문진(성원초) 지유화(성림초)
파일
URL